전세자금대출에 대해 알아보자

//

겨울떠돌이

저장하기

전세자금 대출, 쉽게 알아보기

전세자금대출이란

전세자금대출

자취하는 사회초년생에서 부터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고있는 신혼부부들이 많이 고려하는 전세자금대출. 전세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받은 대출금을 담보로 대출을 받는 상품을 뜻합니다. 일반 신용대출에서는 낮은 금리로 돈을 빌릴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습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서울보증보험 등 보증서를 담보로 전세보증금을 안정감있게 확보를 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세자금대출 종류

전세자금대출

1.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전세자금 대출은 크게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과 금융권 전세자금 대출로 나뉠 수 있습니다.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은 근로자 및 서민들의 주거안정을 위한 저련함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을 뜻합니다. 주택도시기금에 명시되어있는 정보를 확인하면 만 19세 이상의 세대주이면서 무주택자여야 하며, 부부합산 연 소득이 5천만원 이하, 순자산가액이 3.37억원 이하여야 합니다.

대출대상 주택의 임차보증금은 80%이내로 대출한도는 수도권 최대 1.2억원 이내 수도권 외에는 최대 0.8억원 이내 입니다. 대출 금리의 경우 연 2.30%~ 연 3.30%가 되겠ㅅ브니다. 대출기간으로 2년으로 2년단위로 4회까지 연장이 가능하여 최장 10년은 이용이 가능하겠습니다.

연간 인정소득 산정방법으로는 무소득자(1500만원 이하 포함)의 경우 4500만원이며 1500만원 초과 2000만원 이하의 경우 연간 소득의 3.5를 곱하면 되겠고 2000천만원 초과의 경우 연간소득의 4.0을 곱하시면 되겠습니다.

상황방법으로는 일시상환 또는 혼합상환이 가능하며 담보취득은 찬국주택금융공사 전세대출보증 또는 주택도시보증공사 전세금안심대출보증, 채권양도협약기관 반환채권양도가 있습니다.

대출취급영업점으로 임차대상주택이 소재한 도내 영업점에서 취급하는 곳을 원칙으로 합니다.

버팀목전세자금 대출을 신청하실 분들은 주택도시기금에서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2. 금융권 전세자금대출

전세자금대출

금융권의 전세자금 대출은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과는 다르게 여러 기준이 없이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금융권 전세자금 대출의 경우 제 1금융권과 제 2금융권의 상품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제 1금융권이 금리가 낮고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상품입니다. 국민은행, 농협, 기업은행, 우리은행 등 제 1금융권의 경우 전세자금 대출은 신용등급을 기준으로 빌리게 되는데 1~6등급까지, 금리는 은행연합회 웹사이트에서 통합적으로 비교를 할 수 있습니다. 상품별로 직접확인해보시면 되겠습니다.

종합금융회사, 저축은행, 캐피탈 등 제 2금융권의 경우 전세자금 대출은 7등급 이하의 사람들도 이용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제 1금융권 보다는 금리가 높게 형성이 되어 있어 제 2금융권에서 전세자금대출을 받은 다음 징검다리 전세자금보증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생각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징검다리 전세자금보증은 저소득층의 주거비 부담을 경감시켜주기 위해서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제공하고 있는 특례보증입니다. 제 2금융권의 고금리 대출들을 제1금융권의 저금리 대출로 전환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신용점수가 부족할 경우 징검다리 전세자금보증이 있다는 것을 기억해두시길 바랍니다.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말고도 신혼부부 전세자금등 여러 종류가 있으니 자신에게 맞는 주택마련대출을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